2006년생이라면 최대 15만원 혜택!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 방법 총정리
"뮤지컬 한 편이 15만원? 이제 부담 없이 즐기세요!"
공연 한 편, 전시 한 번 보려면 고민부터 앞섰던 적이 있는가? 문화예술을 즐기고 싶지만 비싼 티켓 가격이 부담스러웠던 청년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찾아왔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올해도 ‘청년 문화예술패스’ 지원을 이어가며, 2006년생 대한민국 청년들에게 최대 15만원까지 문화예술 관람 지원금을 제공한다.
영화 한 편이 아니라, 뮤지컬·연극·전시까지 폭넓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 이번 지원 혜택을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꼼꼼하게 정리했다. 청년이라면 놓칠 수 없는 이 기회를 꼭 챙겨 보자.
'청년 문화예술패스'란?
‘청년 문화예술패스’는 청년층의 문화예술 향유를 장려하기 위해 마련된 정부 지원 사업이다. 이 패스를 발급받으면 공연과 전시 예매 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이용권이 지급되며, 올해는 인터파크와 예스24에서 사용 가능하다.
지난해 처음 도입된 후 큰 호응을 얻었으며, 올해도 지속적으로 시행된다. 2006년생 대한민국 국적의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거주 지역에 따라 선착순으로 발급된다. 신청자가 많을 경우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서둘러 신청하는 것이 좋다.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 방법
패스 신청은 3월 6일부터 5월 31일까지 진행된다. 신청을 원하는 청년들은 다음 단계를 따라야 한다.
- 인터파크 또는 예스24 회원 가입
-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사용할 예매처에서 미리 계정을 만들어야 한다.
- 청년 문화예술패스 누리집 접속 및 신청
- 공식 누리집에서 본인 인증 후 신청을 완료해야 한다. (신청 링크는 소제목 클릭)
- 발급 여부 및 지원 금액 확인
- 신청 후 마이페이지에서 발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이용 기간 확인 후 사용 시작
- 발급 후에는 12월 31일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6월 30일까지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을 경우 7월 1일부터 사용이 불가능하다.
- 예매처에서 공연·전시 관람권 구매 시 이용
- 패스를 지원받으면 인터파크 및 예스24에서 공연과 전시 예매 시 결제 수단으로 사용 가능하다.
청년 문화예술패스 사용처 및 혜택
올해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이용할 수 있는 주요 공연·전시는 다음과 같다.
- 국립극단 ‘만선’
-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베르디, 레퀴엠’, ‘뉴 오리진, 새로운 기원’
- 국립정동극장 ‘적벽’
- 국립현대무용단 ‘인잇: 보이지 않는 것’
이 외에도 국립발레단 등 11개 국립 예술단체와 공연시설에서 추가적인 관람권 할인 혜택이 제공될 예정이다.
유의해야 할 점
- 선착순 마감 주의
- 전국 17개 시도별로 정해진 인원만큼 발급되므로 빠른 신청이 필수다.
- 미사용 시 지원금 회수
- 6월 30일까지 사용하지 않으면 7월 1일부터 사용이 불가능하며, 회수된 지원금은 하반기 추가 발급에 사용된다.
- 사용 가능 예매처 확인 필수
- 현재 인터파크와 예스24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다른 예매처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문화예술을 가까이, 청년을 위한 지원 확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통해 청년들이 공연과 전시를 보다 쉽게 즐길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히며, “앞으로도 미래 세대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번 ‘청년 문화예술패스’ 지원을 통해 더 많은 청년들이 다양한 문화예술을 경험하고, 문화적 감수성을 키울 수 있길 기대해 본다. 올해 19세가 되는 2006년생이라면, 3월 6일부터 신청을 잊지 말자!
'Info : Festival&Life > Life +'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6년 전 그 날의 함성", 삼일절 서대문형무소 특별 행사&무료 입장 안내 (0) | 2025.03.01 |
---|---|
2025 미쉐린 빕 구르망 리스트 공개! 서울 & 부산 가성비 맛집 총정리 (1) | 2025.02.26 |
2025년 최저임금 확정! 실수령액, 계산법, 적용 대상 총정리 (0) | 2025.02.25 |
육아 필수템 반값! 서울시 ‘탄생응원몰’ 혜택 총정리 (1) | 2025.02.25 |
2025년 상반기, 힘든 소상공인을 위한 지원! '위기 소상공인 조기발굴 및 선제지원' 신청 안내 (0) | 2025.02.24 |